실질금리와 명목금리보다 중요한 것

명목금리와 실질금리 돈의 얼굴이나는 다큐멘터리가 유튜브에 나오길래 시청한 내용을 정리해 본다. 1. 명목금리와 실질금리 우선은 한가지 짚고 넘어가야할 부분이 있다. 우리가 노동을 통해서 소득(급여)를 세금, 사회보장비용을 제한 후 "가처분소득"이란 이름으로 받게 되는데, 이를 통상 "세후소득"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우린 이 세후소득을 월급으로 받아서 카드값, 생활비, 월세등으로 지출하며 살아가는 소시민들이다.  우리가 살면서 소비를 과하게 할 경우엔 적자가 발생하거나, 궁핍하게 다음 소득이 들어올 때까지 버티며 살아간다. 반대로 흑자가 나서 여윳돈이 생기면 우린 은행에 저축이란 형태로 그 돈을 보관하고 이자를 받게 된다. 이자. 바로 명목금리와 만나는 순간이다. 은행은 돈을 받아서 3개월 내지 6개월, 1년, 혹은 3년단위로 계획적인 저축을 우대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우대해 주는 표시로 일정액의 이자를 지급해 주는데, 이때 명목금리가 적용된다. 그렇다면 실질금리는 무엇인가? 바로 명목금리 - 물가인상(인플레이션) = 실질금리가 되는 것이다. 2. 대출자와 예금자 여기서 "다큐프라임-돈의 얼굴"의 의견이 나온다. 우리가 이자로 지급받는 이자인 명목금리보다 실질금리로 비교한 부분이다. 예금자는 1억을 3.5%에 저축하고 1년후 350만원을 세전 지급받지만 만일 물가가 2%상승했다면 실질금리로 따져 150만원을 받은 것과 같다는 것이다. 대출자는 1억을 3.5%에 대출받으면 물가 2%를 제하고 150만원만 이자로 냈다는 식으로 영상의 말미를 보여주고 있다. 맞는 말일까? 맞는 말이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판단이 들어간다. 어쨌든 이자 금액은 350만원이란 사실이다. 낸돈도 받은돈도 모두 350만원이란 사실이다. 실질금리는 모든 소비가 물가 인상전과 같다는 전제하에서 성립된다. 예금자가 물가인상 전보다 더 소비를 줄이고, 명목금리만큼 이자소득을 얻는다면 예금자의 통장에 잔고금액은 증가한다. 이 다큐에서 말하고

미국FRB, 유럽중앙은행, 한국은행 기준금리(정책금리)

 미국, 유럽, 한국의 기준금리 추이 비교

<출처 : 한국은행 금융경제 한미 정책금리, 각국 정책금리 조합>


주요국 정책금리 비교표


1. 미국과 유럽의 0% 양적완화와 종료시점


[1] 유럽의 마이너스 기준금리 돌입( 2016년 3월 )

[2] 미국 기준금리 1.75%에서 0.25%로 정책금리 인하 ( 2020년 3월 16일 )

[3] 한국 사상 최저금리 0.5%로 정책금리 인하 ( 2020년 5월 28일 )

[4] 한국 정책금리 인상 시작 : 0.5% -> 0.75% ( 2021년 8월 26일 ) - 15개월

[5] 미국 정책금리 인상 시작 : 0.25% -> 0.5% ( 2022년 2월 3일 ) - 23개월

[6] 유럽 정책금리 인상 시작 : 0% -> 0.5% ( 2022년 7월 27일 ) - 76개월



2. 인플레이션을 만들고 수출하는 양대산맥(미국, 유럽)


[1] 기축 통화라는 지위를 이용한 유럽연합과 미국을 필두로 하는 북아메리카.

[2] 공교롭게도 현재 시점에서 미국, 유럽연합, 한국은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유지 중.

[3] 가장 낮은 정책금리는 한국은행의 3.5% -> 유럽중앙은행 4.5% -> 미국 5.5%

[4] 전세계 인플레이션 폭발 시그널이 미국 10년물 국채에 나타났다.

[5] 한국은행의 당시 총재는 이주열총재. ( 그의 재임기간 실물자산 버블이 쌓였다. )

[6] 그나마 퇴임전 기준금리를 0.5% -> 0.75%로 올린 건 그의 최대 업적이다.


3. 미국과 유럽 10년물 국채에 낀 한국 기준금리


미국채10년물, 유로국채 10면물과 한국 기준금리


[1] 공교롭지 않은가?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운신의 폭이 없다.

[2] 한국의 기준금리인상 시간은 미국 10년물, 유로국채 10년물 사이에 자리하고 있다.

[3] 다만 공교로운 것 뿐이리라.


현재 한국은행이 잡고 있는 스텐스는 "물가안정"이라는 단일 목적이 아니란 것은 사실이다.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의 기자 인터뷰에서 이미 밝혀진 사안이다. 


최근 인터뷰에서 기후위기로 인한 과일값 상승을 금리로 컨트롤 할 수 없다는 식으로 발언한 부분에서 기막힌 인터뷰라 생각한다.


2020년부터 누적된 물가인상으로 인한 농산물 가격의 생산비 상승과 함께 기후 위기를 설명했다면 의의는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었으나, 기후위기 하나의 조건은 금리로 통제될 수 없다는 기적의 논리만을 내세운다면, 차라리 금리 인하와 기후위기가 없길 "기도"하는 편이 낫다.


적어도 2021년도 물가급등시기에 물가 인상수준의 턱밑인 4% 중반까지 기준금리를 상승시키는 노력이라도 했다면 이창용 총재의 발언에 수긍이라도 할 수 있을 거 같다. 채권 시장의 양대산맥인 미국과 유럽의 10년물 수익율에 기준금리가 포지션 된 순간 우리나라의 통화주권은 사라진 것으로 본다.


미국이 금리인하해 주길 바랄 것이고, 유럽이 기준금리 인하해 주길 바랄 수 밖에 우리에게 선택지는 애초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전남 목포시 인구수와 추이, 영유아와 학령인구 등 연령별 인구분석

일본 엔화대 달러 환율정보와 엔달러환율과 한국 코스피 상관관계

전남 진도군 인구수 추이, 고령인구 및 성비율과 연령대별 인구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