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금리와 명목금리보다 중요한 것

명목금리와 실질금리 돈의 얼굴이나는 다큐멘터리가 유튜브에 나오길래 시청한 내용을 정리해 본다. 1. 명목금리와 실질금리 우선은 한가지 짚고 넘어가야할 부분이 있다. 우리가 노동을 통해서 소득(급여)를 세금, 사회보장비용을 제한 후 "가처분소득"이란 이름으로 받게 되는데, 이를 통상 "세후소득"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우린 이 세후소득을 월급으로 받아서 카드값, 생활비, 월세등으로 지출하며 살아가는 소시민들이다.  우리가 살면서 소비를 과하게 할 경우엔 적자가 발생하거나, 궁핍하게 다음 소득이 들어올 때까지 버티며 살아간다. 반대로 흑자가 나서 여윳돈이 생기면 우린 은행에 저축이란 형태로 그 돈을 보관하고 이자를 받게 된다. 이자. 바로 명목금리와 만나는 순간이다. 은행은 돈을 받아서 3개월 내지 6개월, 1년, 혹은 3년단위로 계획적인 저축을 우대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우대해 주는 표시로 일정액의 이자를 지급해 주는데, 이때 명목금리가 적용된다. 그렇다면 실질금리는 무엇인가? 바로 명목금리 - 물가인상(인플레이션) = 실질금리가 되는 것이다. 2. 대출자와 예금자 여기서 "다큐프라임-돈의 얼굴"의 의견이 나온다. 우리가 이자로 지급받는 이자인 명목금리보다 실질금리로 비교한 부분이다. 예금자는 1억을 3.5%에 저축하고 1년후 350만원을 세전 지급받지만 만일 물가가 2%상승했다면 실질금리로 따져 150만원을 받은 것과 같다는 것이다. 대출자는 1억을 3.5%에 대출받으면 물가 2%를 제하고 150만원만 이자로 냈다는 식으로 영상의 말미를 보여주고 있다. 맞는 말일까? 맞는 말이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판단이 들어간다. 어쨌든 이자 금액은 350만원이란 사실이다. 낸돈도 받은돈도 모두 350만원이란 사실이다. 실질금리는 모든 소비가 물가 인상전과 같다는 전제하에서 성립된다. 예금자가 물가인상 전보다 더 소비를 줄이고, 명목금리만큼 이자소득을 얻는다면 예금자의 통장에 잔고금액은 증가한다. 이 다큐에서 말하고

일본 엔화대 달러 환율정보와 엔달러환율과 한국 코스피 상관관계

엔달러 환율과 한국 코스피(KOSPI) 상관관계

< 한국은행 : 엔달러환율정보, 한국 코스피지수정보 >


1. 일본의 엔화 추이

한국은행 : 일본 엔달러환율 ( 단위 : 엔 )


[1] 일본의 엔달러 환율은 "엔고"라고 불리는 엔화 가치의 상승과 "엔저"라고 불리는 엔화 가치 하락이 있다.

[2] 현재 2024년 4월 기준으로 일본 엔달러 환율은 154엔으로 "엔저"의 시기다.

[3] 엔저에 의해서 일본의 서민 물가는 폭등하고 있고, 일본 중앙은행은 아주 작은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4] 일본 중앙은행의 초저금리 정책이 장기간 지속될 것이란 것이 시장에서의 중론이다.

[5] 그래서 일본의 엔달러 환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6] 서민 물가와 달리 일본의 수출 경쟁력은 상승하고 일본의 주가는 상승세에 있다.


2. 일본 엔달러 환율과 한국코스피 상관관계

일본 엔달러환율과 한국 코스피 상관관계


[1] 1995년부터 일본의 엔저로 인한 우리나라의 코스피는 큰 영향을 받는다.

[2] 일본의 엔저와 미국의 금리 인상이 맞물렸던 1998년 우리나라는 IMF경제위기를 맞았다.

[3] 한국 경제는 일본의 엔고로 인한 수혜를 2007년 ~ 2015년까지 수혜를 본 것으로 생각된다.

* 다만 일본의 엔화 환율에 직접적 수혜기 보다는 일본과 우리나라의 경쟁 분야가 달라 정확히 일치하진 않는다.

[4] 일본 엔고는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수입량을 감소시키고 내부에서 경쟁력을 키울 계기가 된다.

[5] 현 상태에서 일본의 엔달러 환율이 갑자기 엔고로 방향을 틀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6] 문제는 일본의 엔저 이후에 과연 위기가 올 것인가? 하는 부분이다. 


첫 번째 엔저 이후에 우리나란 IMF를 맞이했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전남 목포시 인구수와 추이, 영유아와 학령인구 등 연령별 인구분석

전남 진도군 인구수 추이, 고령인구 및 성비율과 연령대별 인구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