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금리와 명목금리보다 중요한 것

명목금리와 실질금리 돈의 얼굴이나는 다큐멘터리가 유튜브에 나오길래 시청한 내용을 정리해 본다. 1. 명목금리와 실질금리 우선은 한가지 짚고 넘어가야할 부분이 있다. 우리가 노동을 통해서 소득(급여)를 세금, 사회보장비용을 제한 후 "가처분소득"이란 이름으로 받게 되는데, 이를 통상 "세후소득"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우린 이 세후소득을 월급으로 받아서 카드값, 생활비, 월세등으로 지출하며 살아가는 소시민들이다.  우리가 살면서 소비를 과하게 할 경우엔 적자가 발생하거나, 궁핍하게 다음 소득이 들어올 때까지 버티며 살아간다. 반대로 흑자가 나서 여윳돈이 생기면 우린 은행에 저축이란 형태로 그 돈을 보관하고 이자를 받게 된다. 이자. 바로 명목금리와 만나는 순간이다. 은행은 돈을 받아서 3개월 내지 6개월, 1년, 혹은 3년단위로 계획적인 저축을 우대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우대해 주는 표시로 일정액의 이자를 지급해 주는데, 이때 명목금리가 적용된다. 그렇다면 실질금리는 무엇인가? 바로 명목금리 - 물가인상(인플레이션) = 실질금리가 되는 것이다. 2. 대출자와 예금자 여기서 "다큐프라임-돈의 얼굴"의 의견이 나온다. 우리가 이자로 지급받는 이자인 명목금리보다 실질금리로 비교한 부분이다. 예금자는 1억을 3.5%에 저축하고 1년후 350만원을 세전 지급받지만 만일 물가가 2%상승했다면 실질금리로 따져 150만원을 받은 것과 같다는 것이다. 대출자는 1억을 3.5%에 대출받으면 물가 2%를 제하고 150만원만 이자로 냈다는 식으로 영상의 말미를 보여주고 있다. 맞는 말일까? 맞는 말이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판단이 들어간다. 어쨌든 이자 금액은 350만원이란 사실이다. 낸돈도 받은돈도 모두 350만원이란 사실이다. 실질금리는 모든 소비가 물가 인상전과 같다는 전제하에서 성립된다. 예금자가 물가인상 전보다 더 소비를 줄이고, 명목금리만큼 이자소득을 얻는다면 예금자의 통장에 잔고금액은 증가한다. 이 다큐에서 말하고

전국 영유아(0세부터 5세) 총인구 추이와 심각성

 한국 영유아(0세~5세) 총인구 추이분석

<통계청 : 주민등록인구수 시군구/1세별>


영유아 인구수 증가(출생율 증가)는 18세~30세 연령대의 청년층의 인구수와 밀접한 것으로 보인다. 확실한 근거로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경기도의 청년인구(18세~30세)인구가 1~1.5%증가세일때, 경기도는 10년내 유일한 영유아 순증 0.26%가 나타났다.

거의 청년인구 증가분의 1/4인 25% 수준의 영유아가 출생된 것이다. 물론 이후 청년인구도 감소했고, 영유아는 끝없이 전년대비 감소하고 있다.

1. 영유아 총인구 추이

[1] 전국 영유아 인구수는 정확히 2016년 2월 전년동월대비 -0.1% 감소한다.

[2] 이후 영유아 연령대의 인구 수는 단 한번도 +0%(증가)하지 못하고 있다.

[3] 전년 대비 등락이 있으나, 해당 등락은 0% 이하에서 등락으로 "계속 감소세"다.



그래프1. 전국 영유아(0세~5세) 총인구 추이


2. 수도권 영유아 총인구 추이(전년대비 증감율)


[1] 서울 영유아 : 2013년 2월 0.13% 증가 후, 인구 감소 시작함.

[2] 인천 영유아 : 2015년 11월 0.15% 증가 후, 인구 감소 시작함.

[3] 경기 영유아 : 2016년 2월 0.26% 증가 후, 인구 감소 시작함.

[4] 정확히 일치한다고 말할 수 없지만, 인구 감소시작 궤적이 주택가격 상승 기간과 역방향


그래프2.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영유아 인구수 전년동월대비 증감율


3. 청년 특정연령 수도권 집중이 저출산에 기여한 것인가?

[1] 경기도 : 2014년 3월부터 전년 동월대비 순증 시작함. (경기 상당기간 증가)

[2] 인천시 : 2015년 9월부터 전년 동월대비 순증 시작함. (증가->하락->증가)

[3] 서울시 : 2018년 12월부터 전년 동월대비 순증 시작함. (2019년 정점 후 하락)



그래프3. 수도권 18세~30세 청년 인구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율


* 그래프2의 수도권 영유아(0세~5세) 인구수의 2020년1월~2021년 1월까지 서울, 인천지역의감소세와 그래프3의 급한 인구 감소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 이유는 경기권의 해당 연령의 인구감소는 서울, 인천에 비하여 감소세가 가파르지 않았다.

  - 그 결과 2020년 경기도의 영유아 인구감소율은 서울, 인천에 비하여 비교적 완만하다.


* 그래프3의 경기권 청년인구의 0% 이상 증가에 힘입어 유일한 0.26% 인구 증가가 나타난 곳은 경기도였다. ( 그래프 2 참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전남 목포시 인구수와 추이, 영유아와 학령인구 등 연령별 인구분석

일본 엔화대 달러 환율정보와 엔달러환율과 한국 코스피 상관관계

전남 진도군 인구수 추이, 고령인구 및 성비율과 연령대별 인구분석